본문 바로가기
주식/종목 보고서

덴티움 단기 실적 부진 글로벌 시장(특히 러시아 및 유럽)에서 성장 가능성

by 로이(ROE) 2025. 3. 21.
728x90
반응형

이 문서는 삼성증권이 작성한 **덴티움(145720)**에 대한 기업 업데이트 리포트입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20250321_company_777711000.pdf
0.37MB


🔎 덴티움(145720) 분석 보고서 개요

  • 투자의견: BUY (매수)
  • 목표주가: 90,000원 (현재 주가 대비 +44% 상승 여력)
  • 현재 주가: 62,500원
  • 시가총액: 6,918억 원

📊 4Q24 실적 리뷰

1️⃣ 실적 요약

  • 매출액: 1,194억 원 (-3.9% YoY, +26.1% QoQ) → 컨센서스 부합
  • 영업이익: 287억 원 (-47.2% YoY, +54.3% QoQ) → 컨센서스 대비 16.2% 하회
  • 영업이익률: 24.0% (-1.7%p QoQ)

2️⃣ 주요 요인

  • 중국 시장 부진: 중국 임플란트 수요 감소로 매출 434억 원 (-24.3% YoY, -11.9% QoQ)
  • 러시아 및 유럽 시장 성장: 373억 원 (+36.0% YoY, +287.0% QoQ)
  • 매출 믹스 악화: 패키지 판매에서 임플란트 비중이 감소 (-9.2%p), 매출총이익률 60.2%로 하락

3️⃣ 전망

  • 1분기부터 매출 믹스 정상화 예상
  • 러시아 시장에서 한국산 임플란트 입지 강화 지속
  • 중국 소비 경기 회복 및 정부 정책(VBP) 강도가 핵심 변수

📈 2025년 및 향후 전망

  • 2025년 예상 매출: 4,370억 원 (+7.0% YoY)
  • 2025년 예상 영업이익: 1,200억 원 (+20.5% YoY)
  • 2026년 예상 매출: 4,960억 원 (+13.5% YoY)
  • 2026년 예상 영업이익: 1,490억 원 (+23.4% YoY)

핵심 성장 요인

  1. 중국 경기 회복 가능성
  2. 러시아 시장에서 한국 제품 경쟁력 상승
  3. 프리미엄 임플란트 수요 증가
  4. 고성장 해외 시장 확대

💰 투자 판단

BUY (매수) 유지 이유

  • 중국 시장의 수요 부진에도 러시아 및 유럽 시장이 성장 중
  • 글로벌 덴탈 업계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 유지
  • 현재 주가 대비 목표주가 90,000원 (상승 여력 44%)
  • P/E 5.5배, EV/EBITDA 4.9배 수준으로 저평가 상태

리스크 요인

  1. 중국 정부의 VBP(Volume-Based Procurement) 정책 영향
  2. 글로벌 경제 둔화에 따른 의료 소비 감소
  3. 강달러 지속으로 해외 수출 비용 증가 가능성

📌 결론: 덴티움은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특히 러시아 및 유럽)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고, 저평가된 상태이므로 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수(BUY) 의견 유지.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 주세요!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