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과 삼성의 파운드리 경쟁력 분석: 최신 전망과 시장 구도 변화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인텔이 본격적인 경쟁자로 부상하며 시장 구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TSMC가 확고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2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나, 인텔이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 로드맵 가속화를 통해 2030년까지 2위 도약을 선언하였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수요 급증으로 첨단 공정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인텔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첨단 미세 공정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시장 지위를 수성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으나, 미국 정부의 인텔 지원 등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현황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현재 대만의 TSMC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구도입니다. 2023년 3분기 기준으로 TSMC는 57.9%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12.4%로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3. 이는 기존 2021년 자료에서 TSMC가 55%, 삼성이 18%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TSMC의 우위가 더욱 강화되고 삼성의 점유율이 감소했음을 보여줍니다2. 파운드리 시장은 AI 반도체 수요 급증과 함께 고성능 컴퓨팅, 5G,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첨단 공정 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기업들만이 진입할 수 있는 10nm 이하 시장은 현재 TSMC와 삼성이 양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2.
파운드리 시장은 단순한 생산 능력뿐만 아니라 첨단 공정 기술, 수율 안정성, 고객 지원 서비스, 소프트웨어 최적화 능력 등 다양한 요소가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최근에는 특히 AI 반도체 생산을 위한 첨단 공정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극자외선(EUV) 장비 확보와 같은 장비 투자도 중요한 경쟁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텔이 파운드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재진입하면서 기존의 TSMC와 삼성 중심의 시장 구도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3.
인텔 파운드리의 현황과 전략
인텔은 2021년 파운드리 사업 복귀를 선언하고 AI 반도체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1. 현재 인텔의 연간 매출은 505억 달러(70조원) 수준이며, 파운드리 부문 매출은 189억 달러(26조원)로 전체 매출의 37.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1. 주목할 점은 현재 인텔 파운드리 매출의 95%가 내부 물량이며, 외부 고객을 위한 순수 파운드리 서비스는 5%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1. 이는 인텔이 아직 외부 고객 확보에 있어 초기 단계에 있음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인텔은 2030년까지 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선다는 야심찬 로드맵을 제시했습니다3. 이를 위해 2024년 말 1.8나노미터 공정급인 18A(옹스트롬) 공정 양산을 1년 앞당기고, 2027년에는 1.4나노급인 14A 공정 양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3. 이는 경쟁사인 TSMC나 삼성전자보다 더 빠르게 첨단 공정을 도입하겠다는 목표를 보여줍니다. 실제로 인텔은 2023년 12월 파운드리 업계 최초로 2나노급 칩 생산에 필요한 ASML의 최첨단 하이 NA 극자외선(EUV) 장비를 확보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3.
인텔의 경쟁 전략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생태계 구축에 대한 강조입니다. 이주석 인텔코리아 부사장은 "중앙처리장치(CPU)를 둘러싼 주변 기기들과의 호환을 위해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구현해 나갈지에 대한 부분이 파운드리 서비스의 핵심적인 요소가 됐다"고 강조했습니다1. 인텔은 '원API'라는 개방형 고성능 컴퓨팅 언어를 AI 가속기 제품인 '가우디'에 최적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쿠다'에 대응하고 있습니다1. 오픈소스 기반의 원API는 하드웨어 종속성을 떠나 모든 환경에서 호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성 파운드리의 현황과 도전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2005년에 시작되었으나, 2017년 시스템 LSI 사업부에서 분리되기 전까지는 시장점유율이 미미했습니다2. 독립적인 사업부로 분리된 후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12.4%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3. 그러나 최근 TSMC와의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텔의 파운드리 시장 공세로 인해 삼성전자는 쉽지 않은 경쟁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주요 경쟁력은 첨단 미세 공정 기술에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와 TSMC는 10nm 이하 첨단 공정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이는 극도로 높은 진입 장벽을 가진 시장입니다2. EUV 장비 등을 포함한 팹 건설 비용이 엄청나게 비싸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파운드리 기업들이 이 시장 진입을 포기했기 때문입니다2. 따라서 4차 산업 성장과 함께 10nm 이하 시장이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삼성 파운드리도 상당 기간 성장할 수 있는 구조적 기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텔이 파운드리 경쟁에 가세하면서 삼성전자는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인텔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경쟁 구도에 변화가 예상됩니다3.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살아남으려면 첨단 미세 공정 기술을 앞서 개발해 기술로 승부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3. 결국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수성 전략은 기술력 확보와 안정적인 수율 유지, 그리고 고객 다변화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텔과 삼성의 파운드리 경쟁력 비교
인텔과 삼성의 파운드리 경쟁력을 비교해보면 각각의 강점과 약점이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첫째, 기술 로드맵 측면에서 인텔은 2024년 말 1.8나노미터 공정을 양산하고 2027년에는 1.4나노미터 공정을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3. 이는 경쟁사보다 빠른 일정으로, 인텔이 기술적 리더십을 확보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현재 3나노 공정을 양산 중이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둘째, 고객 기반 측면에서 삼성전자는 이미 다양한 외부 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나, 인텔의 파운드리 매출은 95%가 내부 물량일 정도로 외부 고객 기반이 약합니다1. 그러나 인텔은 최근 메타, 네이버 등 LLM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들과 협업을 확대하며 고객 기반을 넓히고 있습니다1. 인텔의 이주석 부사장은 "LLM 모델을 만드는 회사들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메타의 라마3와 최적화하는 작업을 같이 했으며, 국내에선 네이버와 가우디 도입을 통한 협력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1.
셋째, 차별화 전략 측면에서 인텔은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토털 솔루션 '시스템 오프 칩스(Systems of Chips)'를 내세우고 있습니다3. 인텔은 소프트웨어 안정성이 파운드리 서비스의 핵심 요소라고 강조하며, 원API를 통한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1. 반면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 기술력과 안정적인 수율 확보에 집중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넷째, 비용 경쟁력 측면에서 인텔은 자사의 AI 가속기 '가우디'가 GPU 대비 가격이 거의 반값 수준이며, 가격 대비 성능으로 보면 2배 이상 우수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1. 이러한 비용 효율성은 AI 반도체 시장에서 인텔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시사점
파운드리 산업의 향후 전망을 고려할 때, 인텔과 삼성전자 모두 성장 가능성이 있지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텔은 파운드리 매출이 "앞으로 2~3년 안에 훨씬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습니다1. 첨단 공정 기술 개발과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면,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이 의미 있는 성장을 이룰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 또한 10nm 이하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2. 그러나 TSMC와의 기술 격차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텔까지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어, 삼성전자는 기술 리더십 확보와 안정적인 수율 유지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의 인텔 지원이라는 외부 환경 변화는 삼성전자에게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3.
파운드리 시장의 경쟁 구도 변화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첨단 공정 기술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기술 혁신이 촉진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AI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반도체 성능 향상과 비용 효율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도체 생태계 전반에 걸쳐 소프트웨어 최적화와 하드웨어 통합이 중요해지는 추세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인텔의 파운드리 시장 진입은 기존의 TSMC-삼성 중심 구도에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이 있습니다. 세 회사 간의 기술 경쟁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은 더욱 역동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 경쟁 요소는 첨단 공정 기술력, 안정적인 수율, 소프트웨어 최적화 능력, 그리고 확장된 고객 기반이 될 것입니다.
Citations:
-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812
- https://brunch.co.kr/@@1c8F/765
- https://zdnet.co.kr/view/?no=20240222161847
-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902/126811218/2
- https://heesight.com/entry/2025%EB%85%84-%EC%9D%B8%ED%85%94%EC%9D%80-AI-%EC%8B%9C%EC%9E%A5%EC%97%90%EC%84%9C-%EB%B6%80%ED%99%9C%ED%95%A0-%EC%88%98-%EC%9E%88%EC%9D%84%EA%B9%8C
- https://nodajiman.tistory.com/entry/%EC%84%B1%EC%A0%84%EC%9E%90-%ED%8C%8C%EC%9A%B4%EB%93%9C%EB%A6%AC-2025%EB%85%84-AI-%EC%B9%A9%EC%9C%BC%EB%A1%9C-%EC%9E%AC%EB%8F%84%EC%95%BD-%EB%85%B8%EB%A6%B0%EB%8B%A4
-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4/09/02/2024090200103.html
-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919000770
- https://www.ttimes.co.kr/article/2023052618447732453
-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20/2025022000090.html
- https://zdnet.co.kr/view/?no=20240919110623
-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3/17/2025031700123.html
Perplexity로부터의 답변: pplx.ai/share
'주식 > 종목 보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티움 단기 실적 부진 글로벌 시장(특히 러시아 및 유럽)에서 성장 가능성 (0) | 2025.03.21 |
---|---|
크래프톤 PUBG 여전히 성장 중 삼성증권 리포트 (0) | 2025.03.21 |
전고체 배터리 시장 전망: 개화 시기, 유망 기술 및 관련 기업 분석 (0) | 2025.03.18 |
ADC 바이오의약품 시장 동향 및 미국과 한국의 관련 주식에 대한 종합 분석 (0) | 2025.03.13 |
유리기판 시장: 빅테크 투자 현황 및 국내 관련주 전망 분석 (0) | 2025.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