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는 크게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로 나뉜다.
주식형 펀드란 주식 및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펀드를 말하고,
채권형 펀드란 채권 및 관련 파생상품에 투자 비중이 60%이상을 차지하는 펀드를 말한다.
파생상품이랑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파생시킨 투자상품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주식 선물, 옵션 거래, 주가연계증권(ELS) 등의 실물자산을 바탕으로 투자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든 상품을 말한다.
펀드는 주식 매매 등을 하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일반인이 재테크의 한 수단으로 많이 활용한다.
이러한 펀드는 펀드매니저라고 하는 펀드관리자에게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면서 나의 자산을 맡기는 것이다.
그럼 여기까지 아주 기본적인 펀드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봤다.
그렇다면 언제 주식형 펀드를 들어야 하는지, 또 언제 채권형 펀드를 들어야 하는지 알아보자!
1. 주식형 펀드의 장단점
주식형 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높은 수익률에 있다.
국내나 해외 주식이 상승할 것을 예상하여 투자하는 경우 맞을 경우 높은 수익을 낼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레버리지형(일반적으로 2배의 레버리지(투자자금을 기초로 부채를 일으켜 수익을 내는 방식)) 투자상품의 경우 더 높은 수익률을 내는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주가의 하락에 베팅하고 싶다면 인버스상품(주가가 하락하는 경우에 수익이 나는 상품)에 투자한다면 주가의 하락에도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덱스 펀드라고 하여 코스피와 같은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인이 경제에 눈일 밝아 특정 산업군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하면 범위를 좁혀나가 수익을 극대화 할 수도 있다.
반면 가장 큰 단점은 역시 손실률에 있다.
만약 레버리지상품에 투자했는데 주가가 하락한다거나 인버스 상품에 투자했는데 주가가 상승해 버린다면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지 않더라도 인플레이션 때문에 주가는 장기적으로 오르게 되어있으므로 인버스 투자는 정말 신중하게 하여야 한다.
또 다른 단점은 인버스 투자를 제외하였을때 주가가 오르지 않는 조정기나 침체기 같은 경우에는 별다른 수익이 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경기가 좋지 않을때는 펀드수익률도 좋을 수가 없다.
2. 채권형 펀드의 장단점
채권형 펀드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전성에 있다.
채권형 펀드는 국채나 사채 등에 투자하므로 국가나 기업이 망하지 않는 이상 꾸준한 수익이 나온다. 은행이자보다 높은 이자라고 생각하면 될 정도의 수익률이다.
또한 경기침체기에는 일반적으로 부실기업이 많아지므로 사채이자률이 높아지고 따라서 수익률이 주식형 펀드보다도 좋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반면 가장 큰 단점은 수익성이 좋지 않다는 점이다.
예금을 하지 않고 펀드투자를 하는 분명한 이유는 보다 큰 수익률인데 만약 큰 수익을 기대하고 펀드를 매수하였다면 실망할 수 있다.
그러나 10년이상 장기투자를 생각한다면 채권형 펀드가 주식형 펀드보다 결코 수익률이 낮다고 할 수 없다.
이상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의 개념 및 장단점에 대해 알아 보았다.
'재테크 > 펀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투자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0) | 2025.03.11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