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시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에 따른 글로벌 시장 수혜주 분석

by 로이(ROE) 2025. 4. 22.
728x90
반응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에 따른 글로벌 시장 수혜주 분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종료가 가시화되면서 글로벌 증시에서는 재건 사업 및 경제 회복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26일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광물협정 체결 합의가 이뤄지며 종전 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국제통화기금(IMF)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해 향후 10년간 750조 원 규모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14. 이 같은 대규모 투자가 예상되면서 건설·인프라, 에너지, 화학, 조선업종을 중심으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현대그룹 계열사와 글로벌 공급망을 보유한 기업들이 실질적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후 재건 수요와 산업별 영향

건설 및 인프라 분야의 초기 수혜

우크라이나 정부가 발표한 4차 긴급 재건 피해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피해액의 62%가 주택·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파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4. 이에 따라 한국 건설사들은 현지 진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재건 수주 전쟁에서 우위를 점할 전망입니다. HD현대건설기계(267270.KQ)는 2024년 기준 우크라이나 건설장비 시장에서 23%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크레인 및 굴삭기 공급을 주도해왔고, 종전 후 추가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2. LS ELECTRIC(010120.KQ)는 전력망 복구를 위해 2025년 3월 키이우 전력청과 2,200억 원 규모의 변전소 건설 MOU를 체결한 상태로, 향후 5년간 누적 수주액이 1조 5,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25.

에너지·화학 분야의 간접적 수혜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 완화 기대감이 화학업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 26일 미국-우크라이나 광물협정 체결 소식이 전해지며 LG화학(051910.KS) 주가는 4.2% 상승했는데, 이는 러시아산 저렴한 원유 수입 재개 가능성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 기대 때문입니다6. 롯데케미칼(011170.KS)도 나프타 구매 단가가 배럴당 12달러 하락할 경우 영업이익이 1조 2,000억 원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2024년 대비 34% 증가 수치입니다6.

주요 수혜 기업 심층 분석

HD현대그룹의 종합적 대응 전략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KQ)는 2025년 4월 기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3개년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첫해에는 마리우폴 항구 복구에 3,500억 원을 투자해 컨테이너 처리 능력을 시간당 120TEU에서 450TEU로 확장할 예정이며, 이 프로젝트 성공 시 2027년까지 우크라 내 해상 물동량의 40%를 장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25. 현대로템(064350.KQ)은 전쟁 전부터 우크라이나 철도청과 협력해 1520mm 광궤 전동차 120량을 공급한 경험을 바탕으로, 종전 후 추가로 600량 규모의 철도 차량 수주를 준비 중입니다14.

중소형 기업의 틈새 시장 공략

SG(255220.KQ)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생산 기술로 재건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우크라이나 수출액이 24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고, 이는 전체 매출의 18%를 차지합니다5. 이 회사는 현지에서 모듈러 주택 건설에 필요한 경량 콘크리트 패널 개발을 완료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나설 계획입니다. 아이톡시(372800.KQ)는 독일 BASF와 공동 개발한 친환경 방수 코팅제가 우크라이나 재건 수요를 겨냥해 4월 22일 현재 주가가 3,450원으로 52주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5.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파생 효과

조선업의 간접적 수혜 가능성

전쟁 종료로 흑해 항로 안정화가 이뤄질 경우, 조선업계에서는 LNG 운반선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러시아산 천연가스 유럽 공급 재개에 따라 2025-2027년간 LNG선 신조 수주량이 연간 120척에서 150척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이는 한화오션(010620.KS)과 같은 중형 조선사의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화오션은 2025년 4월 현재 2조 7,000억 원 규모의 미수주 물량을 보유하며 생산 가동률 94%를 유지 중입니다.

2차 재료산업의 성장 동력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KS)은 우크라이나 철강산업 복구를 위해 2025년 3월 크리보이로그 철광산 개발에 1조 2,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연간 500만 톤의 철광석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회사 전체 매출의 22%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4. 동시에, 에스와이스틸텍(033540.KQ)은 경량 강철 구조물 생산라인을 우크라이나 서부 리비우에 구축해 현지 건설사들에게 공급할 계획을 발표하며 주가가 4월 22일 14,300원에서 16,750원으로 17.1% 급등했습니다15.

투자 리스크 및 고려 사항

정치적 불확실성 잔존

2025년 2월 6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미국이 제시한 종전 로드맵에 따르면, 실질적 평화 협정 체결까지 최소 18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5. 이에 따라 재건 사업의 본격화는 2026년 하반기로 예상되며, 단기 투자자들의 변동성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특히 러시아의 보복적 경제 제재 가능성(확률 34%)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며, 이는 에너지 가격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습니다36.

현지 통화 변동성 영향

우크라이나 그리브니아화는 2025년 4월 기준 달러 대비 12% 평가절하되었으며, 이는 한국 기업들의 현지 수익 환율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삼성물산(028260.KS)은 이러한 환율 변동성 헤지를 위해 2025년 1월 우크라이나 중앙은행과 3,500억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지만, 소규모 기업들의 경우 환 위험 관리가 주요 과제로 남아있습니다4.

결론 및 전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료는 단순한 지정학적 사건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신산업 창출의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HD현대 계열사를 중심으로 한 건설·인프라 기업들이 1차 수혜를 받은 뒤, 2차적으로 조선·화학·철강 업종으로 수혜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2026년부터 본격화될 우크라이나 서부 경제특구 개발 프로젝트(총사업비 45조 원)는 한국 기업들에게 연간 7조 원 규모의 수주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45. 투자자들은 단기적 테마 투자보다는 현지 생산망 구축 및 기술 제휴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가진 기업들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blog.naver.com/meaning87/223760188493?fromRss=true&trackingCode=rss
  2. https://brunch.co.kr/@@dxlF/220
  3. https://www.a-ha.io/questions/4baa1a1c59fba6e197a3e8ae30fe4885
  4. https://alphasquare.co.kr/home/theme-factor?theme-id=461
  5.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2060669
  6.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6053251008
  7. https://newneek.co/@daily_economy/article/17764
  8. https://www.therich.io/community/articles/42904
  9. https://m.newsprime.co.kr/section_view.html?no=674430
  10. https://manwoo0276.tistory.com/162
  11.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4177
  12.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213000303
  1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78360
  14.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6538
  15. https://rabbitbro.tistory.com/326
  16. https://blog.naver.com/rec1820/223718395593?fromRss=true&trackingCode=rss
  17.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5&no=121035
  18. https://blog.naver.com/softman_777/223699778904
  19. http://www.klca.or.kr/KLCADownload/eBook/P7923.pdf
  20. https://blog.naver.com/meaning87/223649695391

 

728x90
반응형

댓글